Clean Code 작성하기!
클린 코드는 유지보수하기 쉽고, 가독성이 뛰어나며, 확장 가능한 코드를 의미해요. 단순히 동작하는 코드가 아니라, 협업과 장기적인 유지보수를 고려한 코드 스타일을 뜻해요.
방법
1. 의미 있는 변수와 함수명을 사용해요
변수와 함수의 이름은 코드의 가독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예요. 의미 없는 약어를 피하고, 변수명과 함수명이 역할을 명확히 드러내도록 작성해야 해요. 또한, 발음하기 쉬운 변수명을 사용하면 더욱 직관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요. 네이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며, 임의의 단어나 축약어보다는 직관적인 이름을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 나쁜 예
let a = 10;
let s = "Hello";
// 좋은 예
let userAge = 10;
let greetingMessage = "Hello";2.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역할만 수행해야 해요
함수는 하나의 명확한 역할만 수행하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해요. 여러 개의 기능을 한 함수에서 처리하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고, 코드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돼요.
// 나쁜 예
const processUserData = () => {
validateUser();
saveUserToDatabase();
sendEmailNotification();
}
// 좋은 예
const validateUser = () => { ... }
const saveUserToDatabase = () => { ... }
const sendEmailNotification = () => { ... }3. 주석을 최소화하고, 코드 자체로 설명되도록 해요
좋은 코드는 주석 없이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해요. 주석은 코드의 내용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지만, 코드 자체가 명확하다면 불필요한 주석을 줄일 수 있어요.
// 나쁜 예
// 사용자의 나이를 설정함
user.setAge(25);
// 좋은 예
user.updateAge(25);4. 들여쓰기와 코드 스타일을 일관되게 유지해요
일관된 코드 스타일은 협업 시 가독성을 높이고, 코드 리뷰를 용이하게 해줘요. 들여쓰기와 공백을 일관되게 유지하면 코드의 가독성이 향상돼요.
// 나쁜 예
if(isActive){("isActive Test", isActive);}
// 좋은 예
if (isActive) {
console.log("isActive Test", isActive);
}5. 매직 넘버와 하드코딩을 피해야 해요
코드에서 의미 없는 숫자(매직 넘버)를 사용하는 것은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어요. 대신 상수를 사용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좋아요.
// 나쁜 예
if (status === 3) {
...
}
// 좋은 예
const PRODUCT_CODE = 3;
if (status === STATUS_ACTIVE) {
...
}6. 중복을 최소화해요
중복된 코드는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들고, 코드의 일관성을 해칠 수 있어요. 공통된 로직을 함수화하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해요. 자주 사용되는 코드는 hook으로 만들어 관리할 수 있어요.
결론
클린 코드는 단순한 규칙이 아니라, 처음 보는 사람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협업과 유지보수를 고려한 코드 작성 방식이에요. 의미 있는 변수명, 단일 책임 원칙, 일관된 코드 스타일, 그리고 중복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면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뛰어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어요.